예전에 구매했던 앱이 있었는데 아이폰 구매내역에 안나오는 경우가 있어서 글을한번 써본다.


처음으로 아이팟을 사서 신세계를 본게 2010년 초 미얀마에 있을때였다.


그때 미국스토어에서 YBM 영한 사전을 16.99 달러에 구매해서 잘 사용했었다.


귀국해서도 종종 사용하다가 새로운 아이폰 용량이 32G로 줄어들면서 인터넷 잘되는 한국에서는 용량이큰 오프라인 사전보다 온라인 사전으로 주로 사용하기 시작했었다.


그러다가 오늘 사전을 새로 설치할려고 보니 이렇게 가격 표가 보인다. 



음.. 나는 분명히 돈주고 산거 같은데.. 이렇게 가격이 표시되다니.. 이상하다 가격도 처음에 구매했던것보다 3달러나 내렸넹.. ㅎ


원래 구매했던 앱은 금액표시부분에 구름 표시로 보이면서 터치만해주면 그냥 받아지는데 이상하다..





혹시나 몰라 구매내역을 확인해보기로 했다.


먼저 EMAIL로 받았던 구매내역서를 확인해보면




2010/03/29일에 분명히 구매한 기록이 있다.. 그런데 왜 아이폰 구매내역에는 이 앱이 없을까?


혹시나해서 아이튠즈 구매내역도 확인해보자.



계정 정보로 들어가서


그날짜 구매내역을 확인해 본다.


분명히 존재한다. 아이튠즈계정을 한국계정과 미국계정을 혼용해서 사용하지만 당시에는 미국계정만 사용했다.


분명히 미국계정에서 이 앱을 구매한 확실한 증거가 있다.




구글링을 해보니 예전에 구매한 앱경우 종종 구매내역에 안나올수도 있지만 다시 구매하더라도 금액은 차감이 안된다는 이야기가 있었다.


기프트 카드 잔액이 22달러 남아 있고.. 앱 가격이 13.99달러 이다.. 


예전 구매 기록은 있다.


좋다.. 다시 구매 해보자.. 만약 또 과금이 된다면 애플사에 구매내역이 있으니 환불해달라고 하면 될거같았다.. 과감하게 구매를 클릭..


계정 암호를 입력하고 조금 기다리니 이런 메세지나 나온다.




이전 버전을 가지고 있기때문에 무료로 업데이트가 가능하다고 나온다. 기쁘게 OK를 누르고 설치하면된다.


예전에 구매했지만 구매내역에 안나오는 앱은 이렇게 설치가 가능하다.


혹시 모르니 EMAIL로 받은 구매 영수증을 확인해보고 과감히 클릭하자.. EMAIL 영주증이 없다면 


아이튠즈 계정정보로 가서 Purchase History에서도 조회가 가능하다.


원인은 모르겠지만 어째든 해결..





집에서 사용하는 오래된 NAS가 하나있다. QNAP-TS212 라고 2-3년 전 쯤에 3테라 하드 디스크 하나만 넣어서 백업이나 동영상 감상을 위해서 쓰고 있는데 시롤로지보다는 명성이 떨어지기는 하지만 개인용으로 쓰기에는 큰 무리는 없다.


QNAP에서 지원되는 앱중에 Surveillance Station 이라고 IP카메라와 연동해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녹화, 재생, 알람기능을 할수가 있다.



QNAP에서 설정을 하고 모바일 앱중에 VMOBILE을 설치하게되면 스마트 폰에서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모바일 앱 링크

 iOS용 : https://itunes.apple.com/us/app/vmobile/id397737345?mt=8

 안드로이드용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QNAP.NVR.VMobile






IP카메라가 있으면 좋겠지만 시중에 파는 IP카메라를 구입할려면 최소 5만원이상 비용이 든다. 화질이 좋은거는 10만원 이상 줘야하고..




유명한 IP카메라 FOSCAM.. 아마존에서 직구할려고 몇 번이나 고민했지만. 필요없는 지출이라 생각되어 구경만 하고 있었다. 보시다시피 뒤쪽에 랜이나 무선으로 연결하면 QNAP Surveillance Station과 연동해서 CCTV를 구축할수 있다.


또다른 방법으로는 USB 웹캠과 Surveillance Station을 연동해서 CCTV를 구축할수도 있다.



QNAP NAS에 웹캠을 연결해서 CCTV를 구성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지원하는 웹캠이 UVC호환이 되어야 한다. 이게 어떤말이냐하면 쉽게 이야기해서 웹캠을 PC연결할때 별도의 드라이버 설치없이 인식되는 웹캠이어야만 된다는 말이다. 가지고 있던 구형 웹캠 2개다 인식실패로 테스트 해보지 못했다.


뭐.. IP캠을 사기도 뭐하고 가지고 있던 웹캠 인식도 안되고해서 그냥 저냥 시간을 흘려보내고 있었는데.. 집에서 놀고 있는 안드로이드폰을 연결시켜서 CCTV를 구성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것저것 확인해보니 IPCAM 뭐 이런 앱들이 있어서 설치해볼까? 하다가.. QNAP에서 정식으로 배포되고있는 VCAM 이라는 앱이 보였다.


모바일 앱 링크

 iOS용 : https://itunes.apple.com/us/app/vcam-by-qnap/id886102042?mt=8

 안드로이드용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QNAP.NVR.Vcam


최근에 등록된 앱인거 같은데 이 앱을 설치하면 스마트폰 카메라와 QNAP 을 연결해서 실시간 CCTV를 구축할수 있다는 이야기다. 


당장 설치해봤다.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QNAP Surveillance Station에서 카메라를 인식시켜준다.



카메라 구성에서 + 아이콘을 눌러 카메라를 추가해준다. 원래 QNAP Surveillance 기본 라이센스가 카메라 하나 였는데(추가적으로 카메라를설치할려면 라이센스를 구매해야한다.) 이번에 펌웨어 업데이트를 하고나니 라이센스가 2개가 되었다.. 




카메라를 자동으로 검색하는 옵션 체크를 해제하고 다음을 누른다




여기서 카메라 브랜드를 QNAP으로 설정하고 모델을 QNAP VCAM으로 선택한후 VCAM이 설치된 스마트폰 IP와 앱실행시 설정했던 아이디, 암호, 포트등을 설정후  테스트를 눌러본다.


그러면 연결이 된다 ㅎㅎ




시간설정 해서 자동 녹화를 할수도 있다. 


추가비용 없이 간단하게 CCTV 만드는 방법이다.. 조금더 테스트해보고 안정성이나 녹화가 잘되는 봐야겠다.



iOS8버전 이후에 애플에서 키보드 API를 열어줬다고 저번에 한번 포스팅했습니다.


앱스토어에서 검색해보니 미얀마 키보드 앱이 여러개 올라와 있더군요. 그중에 하나 ttKeyboard를 소개 합니다.


개발자가 이뿌게 만든거같습니다. ^^


앱스토어 링크 : https://itunes.apple.com/us/app/ttkeyboard/id919884616?mt=8




앱을 설치하시고 설정-일반-키보드에서 ttKeyboard를 추가해 줍니다.







키보드 추가를 누르게 되면 4가지 키보드를 선택할수 있습니다. 가장 많이 쓰는 zawgyi를 선택해 줍니다.




(이화면에서는 zawgyi가 안나오는데 제가 이미 추가 했기때문에 안나오는겁니다. )


shan 이 샨 키보드인거 같고.. khmer 은 카렌(?) 인가 추측됩니다. 소수 민족에서 쓰는 언어와 글자가 조금씩 틀려서 각각 키보드가 있는거 같습니다.


그리고 키보드에서 전체 접근을 허용해줍니다.


키보드 테마나 키소리를 사용하기위해서 허용이 필요하다고 하네요



허용을 눌러 줍니다. 만약 테마를 사용 안하신다면 허용 안함으로 하셔도 사용하는데 큰 지장은 없는거 같습니다.






ttKeyboard를 실행하게되면 테마 선택을 할수 있습니다.


기본 테마로 3가지가 제공이 됩니다. 회색, 골드, 카키(?)색 이구요


아래 화면은 골드 테마를 선택했을때 나오는 키보드 입니다.


인앱을 구매하시면 추가 18가지 테마를 선택해서 사용하실수 있습니다. 구매 안해도 사용에는 문제없습니다.



아이폰 기본 메모장에서 ttkeyboard로 메모 작성 화면 입니다. 키보드 우측 상단에 abc를 누르면 영문 자판으로 바로 입력할수도 있습니다.


왼쪽 상단에 스프레이 아이콘을 누르면 테마선택 화면이 나옵니다.


smart ZawGyi는 어떤 기능인지 아직 파악이 안되네요.. 조금 더 써보고 다시 알려드리겠습니다.




깔끔합니다.


참고로 다른 앱에서 미얀마 폰트가 안보인다면 같은 제작자의 미얀마 폰트 인스톨 프로그램도 있습니다.


MyFont - Myanmar Font 입니다.


앱스토어 링크 : https://itunes.apple.com/us/app/myfont-myanmar-font/id855256130?mt=8



아이폰에서도 이제 탈옥없이 미얀마어를 읽거나 쓰기에 편해져서 좋네요.






아이폰을 계속 써오면서 불편한 부분중 하나는 스팸 등록이었다. 


KT - SK - 헬로모바일 로 통신사를 옮겨오면서 통신사별 스팸 등록 앱에 관해서 글을 하나 적어본다.


이전에 아이폰 자체에서 수신거부를 하는 방법도 참고 하시면 좋을듯.

링크 (http://jmsong.net/167)


아이폰 자체 수신거부가 깔끔하고 좋기는 한데 거부등록된 번호로 전화가 오거나 문자가 왔을때 확인할수 있는 방법이 없다. 참고로 신한카드카드 교체발급건으로 통화가 안되서 확인해보니 아이폰 수신거부에 신한카드 번호가 등록이 되어 있었다. 이런 젠장.



T스팸 필터링이 SKT용이고 , 올레스팸차단이 KT 및 KT회선을 쓰는 MVNO(헬로모바일 같은)용 이다.




KT용 - 올레스팸차단 (헬로모바일도 사용가능)


차단 번호나 차단문구를 지정해서 사용할수 있다. 스마트 차단이나 변종문자 차단등도 가능하고 나름 쓸만하다.





올레스팸차단으로 차단된 문자도 앱에서 확인 가능하고..


이렇게 친절하게 문자로도 보내준다.







SKT - T스팸필터링


KT용 올레스팸차단 앱에 비해서 완성도가 많이 떨어진다.




1. 와이파이 연결시 앱을 사용할수가 없다. 이유를 모르겠다. 3G나 LTE로 연결해야지만 스팸번호를 등록할수 있음

2. 스팸번호등록시 -(대쉬)를 입력할수 없다. 보통 수신목록에서 전화번호를 복사해서 붙여 넣기 하는데 010-1111-2222 를 복사해서 붙여넣기 하면 입력이 안된다. 01011112222 이라고 수동으로 넣어줘야함.

  ==>올레스팸차단에서는 전화번호를 복사해서 붙여넣기 하면 -(대쉬)를 자동을 빼주면서 번호 등록이 된다. 


위 두가지 문제 점은 언제 수정이 될런지 모르겠다. 정말 불편함


아무튼 아이폰 자체 수신거부 기능과 통신사 스팸거부 앱을 적절히 사용한다면 나름 스팸에서 스트레스를 안받아도 될거 같다.





오늘 새벽에 iOS8이 나왔습니다. 출근해서 오전에 다운로드 받아 업그레이드 하고 오후에 이것저것 만져보는중에 기본상태에서 미얀마폰트를 볼수 있게되어 기쁜마음에 포스팅을 합니다.


iOS는 안드로이드와 틀리게 폰트부분에 많은 제약이 있었는데 이번에 iOS8로 os가 업그레이드 되면서 애플에서 개발자에서 API를 많이 개방했다고 하는데 폰트부분도 이것과 연결되어 표시가 되는게 아닐까 추측하고 있습니다.


페이스북에서 미얀마어가 표시되는 성공적인 화면




아시다시피 기존 아이폰에서 미얀마어로된 페이지를 볼때는 이렇게 깨져서 나왔습니다.



미얀마에서 거의 표준으로 사용하고있는 저지(zawgyi)폰트를 아이폰에 설치할수 없기 때문이었습니다.


참고 : 앱자체에서 사용자폰트를 지원하는 경우는 글씨를 볼수 있었습니다.(한컴오피스 같은..)




사용자 폰트를 프로파일 형태로 아이폰에 설치해주는 앱이 몇개 있습니다. 


제가 사용했던앱은 font installer 라는 앱인데.. 이 앱에서 저지폰트를 시스템에 설치합니다.


앱스토어 링크 : https://itunes.apple.com/us/app/font-installer-install-any/id858559127?mt=8


이앱에서 저지폰트를 추가해서 시스템 프로파일에 설치를 합니다.


저지폰트가 프로파일에 설치가 되었습니다.



세부사항을 확인해 보면 이렇게 나옵니다.






기존에 iOS7에서는 이렇게 프로파일을 설치하게 되면 알림창에서만 미얀마어가 보였습니다.


이런식으로 알림창에서는 미얀마어가 보이지만 실제 앱에서 보면 깨져서 보였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어떤 앱에서든지 미얀마어가 보이는군요.. 


페이퍼 앱에서도 잘나오네요.. 첫줄의 상단이 약간 짤리지만 그래도 이게 어딥니까.



기본 음악앱에서 미얀마 노래에 넣어둔 가사까지 잘 보입니다. ㅠ.ㅠ 감동감동



iOS8로 올리니 이런 기쁨이 찿아오네요. 모든 앱에서 미얀마어를 볼수 있습니다. 이제 미얀마어 키보드만 나오면 iOS에서도 탈옥없이 미얀마 입출력이 전혀 문제없을듯 합니다.


키보드 API도 공개가 되었기 때문에 조만간 저지 키보드도 나올듯 하네요.


오늘은 참 기쁜날이네요.. 





개발용으로 썼던 2012 맥북에서 13인치에 심폐소생술을 해줄려고 아마존에서 주문받았던 pny storeEDGE 128G SD 메모리에 대해서 짧게 적어봅니다.(SSD 128G는 너무 작습니다 ㅠㅠ)


아마존에서 80불에 판매되고있구요.. 배송비해도 85불이면 구입할수 있습니다.


http://www.amazon.com/gp/product/B00DC9U2Q8/ref=oh_details_o00_s00_i00?ie=UTF8&psc=1


2012 맥북에어 꼽으면 약간(2-3미리?) 튀어나오지만 쓸만하게 쏙들어갑니다.


생긴건 이렇게 생겼구요


일반적인 SD 카드보다 짧아서 맥북에 잘 어울립니다.







이렇게 포장이 되어서 오구요... 뜯기가 힘들어서 가위질해서 잘랐습니다.


기쁜마음에 맥북에어에 꼽아서 속도 테스트 해봤습니다만....




결론은.... 


맥북에어에서는 사용할 물건이 못됩니다. ㅠ.ㅠ


다른 분들이 사용할때는 전송속도가 최소 60메가에서 최대 90메가 까지 나온다고 했는데.


맥북에어 에서는 20-30메가 밖에 속도가 안나옵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모델이 2012년식이고


SD카드는 SDXC지원도 되고 USB3.0도 지원되지만.. 속도가 안나옵니다.


포멧을 저널링, FAT, FAT32, EXFAT 전부 다 해봤지만.... 20-30메가 밖에 속도가 안나옵니다.


맥북에어의 SD슬롯 자체가 맥북프로보다 성능이 떨어진다고 생각할수 밖에 없습니다. ㅠ.ㅠ


맥북프로를 사용하시는 분에게는 좋은 대안이될수 있겠지만.. 에어는... 크게 도움이 안되는듯.


받은지 하루만에 중고로 다시 판매 


아무튼 에어 사용자분들은 구매하실때 속도를 고려해보셔야 할듯 하네요.




환율어플을 사용해서 환율을 조회하면 되겠지만..


더 편한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던중 아이폰 주식정보를 야후에서 가지고오니 환율도 될듯해서 테스트 해봤습니다.


일단 2013년 9월 27일자 화면 입니다.




KRX=X 1,073.850    ==> 1달러당 원환율 입니다

MMK=X 975.000    ==> 1달러당 미얀마 짯 환율입니다.


잘나옵니다. 환율 어플 설치 안해도 기본적인 정보를 볼수 있어서 좋네요..


설정방법은



주식앱에서 오른쪽 하단 버튼을 누르시고 왼쪽 상단에 + 버튼을 누르신뒤


검색에 USDKRW 을 넣으신뒤 아래 검색된 KRW=X 를 추가 하시면 됩니다.


간단하죠.. 


마찬가지로 미얀마 짯 환율은 USDMMK를 검색해수 추가 하시면 됩니다.


간단하게 알림창을 내려서 환율 조회하기 편할듯 하네요.


제가 필요한 환율만 검색했는데 국가별 환율 두개를 넣으시고 검색해서 나오게 되면 다른 환율도 조회가 될듯합니다.


환율 그래프도 나오니 환율편하게 보시는데 좋을듯 해서 올려 봤습니다. 








아이클라우드 기능 중에서 유용한 것중 하나는 iWork라는 맥용 오피스의 문서파일을 공유 하는것이다.



keynote, numbers, pages 의 문서를 맥이나 아이패드 또는 아이폰에서 만들거나 수정하게 되면 바로바로 변경이된다.



이번에 wwdc2013에서 발표된 iWork for iCloud 기능으로 이제는 맥뿐만 아니라 윈도우에서도 iWork를 사용할수 있게되었다.


예전에 대학원에서 발표할때마다. 맥이나 아이패드를 프로젝터에 연결하느라 고생했는데.. 이제는 윈도우 PC에서 웹으로 간편하게 발표를 할수 있다는게 참 고마운 일다.


그런데 사용하다가 보니 문서가 많아져서 파일관리가 좀 지저분해 졌다.



문서가 몇개 없으면 상관없지만 많아지면 관리하기가 좀 까다롭다.


작년에 대학원 마지막학기때 발표했던 키노트 파일을 아이클라우드 상에서 좀더 편하게 관리할수 없을까 고민하고 있던 중이었는데.


예전에 Back to the Mac 블로그에서 봤던 iCloud폴더를 finder에서 직접접근하는 방법이 생각이났다.


참고 http://macnews.tistory.com/235 (finder 상에서 아이클라우드 문서를 바로 접근하는 방법이다)


이때 finder 상에서 직접 접근을 하는 방식이니 여기에 그냥 폴더를 만들어 볼까?라고 갑자기 생각이나서 해보았다.



이렇게 iWork폴더가 있는데 여기에 키노트 폴더 밑에



이렇게 두개 폴더를 만들어서 키노트 파일을 분리해서 넣어봤다.


그리고 맥에서 확인해 본결과... 



폴더 형식으로 잘 나온다. ㅎㅎ


물론 아이패드와 아이폰, iwork for icloud 모두 폴더 형식으로 관리가 잘 된다.



이건 아이패드에서 확인했을때 모습


폴더를 클릭했을때 애니메이션이 마치 아이폰의 그것과 비슷하다.


아이클라우드에 문서가 많으신 분들은 이렇게 폴더로 관리 해보시는것도 좋을듯 하다.


드롭박스를 사용한지 몇년이 지나간다. 처음 가입할때는 2기가 밖에 없었는데.. 


대학교메일인증, 카메라 사진업로드 인증, 페이스북, 트위터 인증 등등 해서 약 14기가 정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던중... 와이프의 겔럭시s3로 드롭박스를 인증을 해서 무려 50기가의 용량을 더 얻게 되었다.(2년 제공)


그래서 지금 총 가용 용량이 64기가 정도 되었다.


드롭박스가 속도는 느리지만 앱과의 호환성에 있어서는 갑 오브 갑 이기때문에 더욱 활용도가 늘어날거 같다.


맥이나 pc에서 클라이언트 싱크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사용할때는 크게 문제점을 모르고 있었는데.


ssd 용량이 128기가밖에 안되는 맥북에어에서 드롭박스를 싱크 할려니 용량압박이 너무 심하다.


용량때문에 맥북에어의 sd카드를 이용해서 백업용으로 쓰고있던 microSD를 활용해보기로했다.


http://jmsong.net/142 (맥북에어에서 microsd 사용하기)


microsd를 64 기가 장착하고 있기때문에 드롭박스 싱크 폴더를 이쪽으로 옮기면 맥북에어의 용량압박을 좀더 잘 견딜수 있을꺼라 판단을 했다.



그래서 드롭박스 옵션에 드롭박스 위치를 sd 카드로 변경할려고 하니..


드롭박스 위치를 이동식 디스크로 변경할수 없다는 에러 메시지가 나온다. ㅠ.ㅠ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던중에... 예전에 아이폰 백업 파일을 심볼릭링크를 사용해서 다른 폴더로 변경했던 기억이 났다.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ikaros79&logNo=20163462153


http://sokion.tistory.com/251


그래서 심볼릭링크를 이용해서 드롭박스위치를 sd카드로 변경해봤다.


터미널에서


ln -s /Volumes/SD/Dropbox /Users/jmsong/Dropbox  (jmsong은 유저 네임)


결과는 심볼릭 링크가 잘 걸리고 드롭박스동기화도 잘된다. 







이번에 WWDC2013 키노트를 보면서 iOS7에 원하던 기능이 많이 들어가고 아이폰의 활용도가 더욱 높아질꺼 같아 기대감이 크다.


애플 개발자 계정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알다시피 애플개발자 페이지에서 WWDC 동영상을 보거나 다운받을수 있다.



https://developer.apple.com/videos/ 여기에 접속해서 동영상을 하나씩 보는 재미가 있다


그런데 동영상을 다운로드 받아서 컴퓨터에서 볼려고 하니 너무 귀찮아 졌다.. 하나씩 클릭해서 다른이름으로 저장하기를 할려니 번거롭고.. 귀찮고..


그런데 여기서 아래쪽 페이지를 보면..




View all videos in Developer on iTunes 라는 것이 보는게 아닌가..


이건 뭐지 하고 클릭해보니..



아이튠즈에서 개발자 비디오 세션을 볼수 있는 페이지가 열린다.. 오.. 신기신기.(윗쪽 상단에 개발자 계정으로 로그인되어있다고 나온다)



하나씩 세션별로 다운받을수도 있고.. 위에 get tracks 를 눌러서 한방에 다운로드를 다 받을수도 있다.


개발자 웹페이지에서 다운받을려니 세션제한(?)으로 동시에 6개 밖에 안받아지는데 아이튠즈에서 다이렉트로 받으니 좀더 편하고 빠르게 받을수 있다.


아쉽게도 아직 WWDC2013동영상은 없지만 좀있으면 올라오겠지..




+ Recent posts